노년층, 21평 주거시설 선호
''기존 거주지와 가까운 곳 1순위''
건강한 노인부부는 세대당 21평 이상 주거단위 시설에서 살기를 희망하며 자신이 살던 집과 가까운 곳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인주거학회 이인수교수는 지난 1일 숙명여대에서 열린 '노인주거와 실버산업에 관한 자유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교수는 '실버산업과 노인촌락의 미래' 발표에서 노인시설을 활성화하기 위해선 시설거주가 국민연금 수혜의 대안으로 채택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0년경에는 국민연금 완전급여 대상자가 다수 발생하는 데, 이 때 국민연금을 반드시 현금으로만 받을 것이 아니라 본인이 원할 경우 국가가 운영하는 시설에 비용을 대납하고 입주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히자는 것.
그는 이 방안이 실현가능하기 위해선 국민연금 운영기관이 노인시설을 설립하거나 운영자와 비용지불 협력방안을 구상하는 철저한 공조체계를 구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이 밖에도 노인들이 원하는 시설설립을 위한 지침 및 다양한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그동안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건강한 중산층 노인들은 21평 이상 주거단위 시설에 살기를 원하며, 친구·이웃과 지속적인 교류를 할 수 있도록 기존 거주지와 가까운 곳을 최우선으로 선택한다는 것.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노년층의 사회적 접촉을 늘리기 위해 노인아파트 입주자를 60대 초반은 1층, 후반은 2층, 70대 초반은 3층에 살도록 배려해 노인들이 함께 운동·외출·사교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노인시설 경영의 10대 지침도 소개됐다.
노인시설은 지역사회와의 원만한 관계, 호흡기질환이 빈번한 노인을 위한 개인별 온도조절, 방 구조·가구디자인·의복 등에 대한 선택의 여지 및 독립성 보장, 고층건물 기피 등을 최대한 고려해야 한다는 것.
이교수는 이 밖에도 시설에서 다양한 그룹활동을 이끌되 노인들끼리 다툼이 생기지 않도록 각 조로 나눈 뒤 조마다 노인대표를 두는 식으로 갈등이 생겼을 때 가급적 노인 자치기구에서 중재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시니어저널 2002-6-10)
2002-06-14 09:44:28